알고리즘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와 Big-O

    [알고리즘] 시간 복잡도와 Big-O

    알고리즘이란 어떤 목적을 달성하거나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거쳐야 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의미 여러가지 상황에 따른 알고리즘은 모두 다르다. 따라서 시간복잡도가 가장 낮은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사용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구현한다는 것은 바꾸어 말해 입력값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시간의 비율을 최소화한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것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을 분석할 때 시간 복잡도를 사용 최상의 경우 : 오메가 표기법 (Big-Ω Notation) (하한 점근) 평균의 경우 : 세타 표기법 (Big-θ Notation) (평균) 최악의 경우 : 빅오 표기법 (Big-O Notation) (상한 점근) => 시간 복잡도는 일반적으로 빅오 표기법으로 나타냄. 평균인 세타 표기를 하..